네온빛 도시 속에서 다시 태어난 셰익스피어의 사랑 이야기

셰익스피어의 대표적 비극이 올가을,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새로운 얼굴로 관객을 만납니다. 홍콩발레단의 〈로미오+ 줄리엣〉은 프로코피예프의 음악을 바탕으로, 고전 발레와 무술, 그리고 1960년대 홍콩의 시대적 정서를 한 무대에 녹여낸 독창적인 작품입니다.

놓치지 말아야 할 관람 포인트

대나무 비계 구조물에서 연출된 발코니 장면_홍콩발레단 홈페이지

1. 1960년대 홍콩의 무대 공간

네온 간판이 빛나는 거리, 대나무 비계, 좁고 얽힌 골목길 구조물이 무대 위에서 유연하게 변주됩니다. 전통적인 발코니 장면조차 이 구조물 속에서 새롭게 연출되어, 당시 도시의 생생한 공기와 비극적 서사가 어우러집니다.

무술 동작을 녹여낸 장면_홍콩발레단 홈페이지

2. 무술과 발레의 융합

무용수들은 쿵푸 마스터들의 집중 훈련을 통해 나무봉과 무술 동작을 몸에 익혔습니다. 발레는 특유의 중력을 벗어나는 듯 가벼운 움직임에 익숙하다면, 무술은 땅에 뿌리를 내리듯 낮은 무게 중심을 요구합니다. 이러한 상반된 훈련을 거친 결과, 전투 장면은 단순한 안무를 넘어선 강렬한 무대 경험으로 완성되었습니다.

셉팀 웨버 인터뷰 영상 보러가기_홍콩발레단 홈페이지

3. 셉팀 웨버의 시선, 프로코피예프의 선율

셉팀 웨버는 워싱턴발레단 예술감독을 거쳐 2017년부터 홍콩발레단을 이끌고 있는 안무가로, 고전의 클래식한 감성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데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. 그는 프로코피예프의 음악을 20세기 최고의 발레 음악으로 꼽으며, 웅장하면서도 서정적인 선율이 이번 작품의 길잡이가 되었다고 말합니다. 웨버의 독창적인 해석과 프로코피예프의 음악이 만나는 순간은 이번 공연에서 놓쳐서는 안 될 하이라이트입니다.

홍콩발레단 홈페이지

4. 고전 서사의 현대적 해석

베로나가 아닌 홍콩을 배경으로 옮겨온 이 작품은 단순한 이국적 장치가 아니라, 1960년대 도시가 지닌 활기와 긴장감을 통해 사랑과 대립, 비극의 이야기를 한층 입체적으로 드러냅니다. 관객은 ‘익숙하지만 낯선’ 감각 속에서 원작을 새롭게 마주하게 됩니다.

공연 정보

  • 일시: 2025년 9월 26일(금) 19:30 / 9월 27일(토) 17:00
  • 장소: 국립극장 해오름극장, 서울
  • 소요 시간: 약 2시간 15분 (인터미션 포함)

첨부파일 다운로드